제주 노루 개체수 급감…무더기 포획에 결국 ‘멸종’ 위기

유해야생동물 지정 후 1만2천 → 3천 마리로 ‘뚝’

“지정해제하고 보호방안 마련해야”

한때 1만2천 마리에 달할 것으로 추산되며 유해야생동물로 지정된 제주 노루가 현재 3천 마리 수준으로 급감한 것으로 나타나 보호계획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제주환경운동연합(공동대표 김민선, 문상빈)은 7일 제주노루의 유해야생동물 지정을 해제하고 제주도에 보호계획 마련을 촉구하고 나섰다.

이들은 제주도가 최근 발표한 <제주노루 행동·생태·관리 보고서>를 인용하며 “2009년 1만2천8백 마리가 서식할 것으로 추정된 노루 개체수는 2015년에 8천여 마리로, 2016년에는 6천2백 마리로 줄었고, 2017년에는 5천7백 마리, 그리고 올해는 3천8백 마리로 급격하게 감소했다”고 전했다.

단체는 이 같은 급격한 개체 감소 배경에 대해 정확한 실태 파악을 실기했기 때문이라며, “2016년 이후 포획중단과 개체수 정밀조사, 초지를 포함한 먹이식물 면적 재조사와 그에 따른 적정서식개체 재산정 등의 작업이 필요했지만, 이를 놓치며 결국 심각한 개체수 감소에 진입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와는 별개로 노루에 의한 농작물 피해가 전혀 줄어들지 않고 있다며 포획사업이 큰 효과를 보지 못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단체는 “보상을 받은 피해 농가수는 2014년 감소한 이후 15년에 되레 증가하고 16년에 감소했다가 17년에 다시 증가한다. 심지어 2018년에는 2014년 보다 많은 피해농가가 발생했다. 개체수와 관계없이 피해농가수가 널뛰고 있다”며 “결국, 노루의 포획이 아니라 노루침입 방지시설과 기술을 보급하는 것이 농작물 피해를 막는 가장 확실한 방법이었던 셈”이라고 꼬집었다.

제주도의 야생노루 포획계획이 비과학적이라는 주장도 함께 제기했다.

단체는 지난해 열린 야생동물보호분과 회의 결과를 꺼내들며 “당시 제주도는 2018년 2월 노루 추정 개체수를 5천7백 마리로 보고, 암컷의 비율과 새끼 생존율 등을 고려해 추가포획이 필요할 것으로 봤지만 실제 개체수는 늘지 않았고 무려 1천9백 마리가 감소했다”며 “결국 제주도가 제시하는 계산방식에 심각한 오류가 있다는 판단을 충분히 할 수 있는 것으로, 계산방식의 오류가 아니라면 매년 진행해온 조사와 추정치에 심각한 오류가 있거나 대규모 밀렵행위가 벌어지고 있다는 것 외에 설명이 불가능하다”고 파고들었다.

끝으로 단체는 “제주도가 제시한 제주노루 적정 개체수 6천1백 마리 역시 과학적으로 학문적으로 납득할 수 없는 결과로, 특정 개체수를 확정해 인위적으로 강제하는 방식의 정책과 기술은 국내외에서도 사례를 찾을 수 없다”며 “노루를 유해야생동물에서 당연히 해제되어야 하는 것은 물론, 노루를 안정적으로 보호하기 위한 보호방안 마련이 시급하다”고 주장했다.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