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브리핑] 청정 송악선언의 배신…대규모 개발사업장 재연장

희생자 배보상금 지급 기준을 담은 ‘제주 4·3 사건 진상규명 및 희생자 명예회복에 관한 특별법’ 일부 개정안이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소위원회를 통과했습니다. 소위원회는 다만 유족에 대한 국가 책임도 있어야 한다는 내용을 회의록에 남겼는데요. 개정안은 행정안전위원회 전체 회의와 법제사법위원회를 거쳐 본회의에 회부될 예정입니다. 


제주도가 버스 준공영제를 개선하는 방안을 추진합니다. 어제(23일) 용역 착수보고회를 시작으로 본격적인 개편 작업에 나서게 됐는데요. 공영제와 준공영제의 장단점을 따져 제주에 적용 가능한 운영 방안을 검토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솔직히 큰 기대는 안 합니다만, 대중교통은 도민들의 삶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만큼 꼼꼼하게 잘 들여다보고 보다 쉽게 사용할 수 있는 대안이 나오길 기대해 보겠습니다.


사실상 사업 추진이 힘들거나 진행 과정에서 불법과 논란을 불러 일으킨 도내 대규모 사업장에 대해 제주도가 또 사업 기한 연장을 허용했습니다. 어제(23일) 열린 제주도 개발사업심의위원회에서는 도내 8개 관광개발사업장에 대한 심의가 진행돼 재연장 여부에 촉각이 쏠렸는데요. 제주동물테마파크를 비롯해 묘산봉 관광단지 조성사업 기한이 각각 1년 더 연장됐습니다. 원희룡 전 도지사의 청정 송악선언은 글자로만 존재하는 내용인가 봅니다.


제주의 수산물하면 전국적으로도 높은 품질로 유명한데요. 그런데 어종에 따라 어민들의 희비가 엇갈리고 있습니다. 갈치와 참조기는 소비량이 줄어 현재 재고 물량이 쌓이고 있는 반면, 요즘 제철을 맞은 방어인 경우 위판 가격이 두 배 가량 뛰었습니다. 그런데 왜 우리가 사먹는 가격은 늘 비싼 걸까요?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