잦은 비날씨와 행정의 관리 소홀이 지난해 서귀포시 발생한 강정정수장 수돗물 깔따구 유충 유출사고의 원인으로 파악됐다.
서귀포시 강정정수장의 수돗물 깔따구 유충 유출사고의 원인파악과 재발방지대책을 마련하고자 지난해 10월 27일 발족한 민‧관 합동 정밀역학조사반(이하 조사반, 반장 곽인실, 전남대 교수)은 그간의 활동 경과를 종합한 최종결과를 13일 발표했다.
조사반은 수돗물 유충 유출발생의 원인이 외부요인(취수원 깔따구 서식환경 조성)과 내부요인(시설노후화, 운영관리 전문성 부족 등)이 복합적으로 나타났음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특히 지난해 6~7월의 긴 장마와 9월 태풍 마이삭의 집중 호우로 인한 하천범람, 제방유실 등에 따라 인근 농경지 등에서 다량의 유기물을 포함한 비점오염원이 취수원 상류로 유입됨에 따라 깔따구 유충 대량 번식환경이 조성된 것으로 판단하였으며, 비용절감위주의 정수장 운영(간헐적 응집제 주입, 긴 여과지 역세척 주기 등)과 정수시설의 노후화(하부집수장치 일부 파손, 역세척 설비 등), 운영관리 인력의 전문성 부족 등과 맞물리며 유충 사태를 촉발했다고 꼽았다.
제주상하수도본부는 조사반이 이번 원인규명 결과를 토대로 단기‧중장기 수돗물 깔따구 유충 유출 재발방지 종합대책을 제시함에 따라 강정정수장 운영 종합계획을 수립하고 수도정비기본계획에 강정정수장 현대화 사업을 반영시켜 사업 추진 근거를 마련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