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정부의 초대 국토부 장관에 내정된 원희룡 전 제주도지사의 인사청문회가 다음 달 2일로 다가왔습니다.
오등봉공원 민간특례사업과 전원주택 셀프 용도 변경에 더해서, 최근 전현직 공기업 대표의 고액 후원금 사실까지 확인되면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데요.
원 전 지사 같은 경우 지난 대선 과정에서 대장동 1타 강사로 쏠쏠한 재미를 본 기억 때문에 민주당 국회의원들 ‘그래 너 있을 때는 얼마나 잘했는지 보자’고 벼르며 제주도에 이런저런 자료 제출 요구가 많은 분위기 인 듯 합니다.
그런데 뭔가 온도차가 확 나는 기사가 있어서 소개해 드릴까 하는데요.
<제주의소리> 4월 22일자 원희룡, 공사 사장 후원금 구설수 ‘청문회 자료 요구도 빗발쳐’라는 기사 보시죠. “청문회를 앞두고 국토위와 각 의원실은 제주도와 산하기관에 각종 자료 제출을 요구하고 있다. 국정감사에 버금가는 요청에 각 부서마다 진땀을 흘리고 있다.”고 드라이하게 전하고 있습니다.
반면 <뉴제주일보>는 25일자 원희룡 인사청문 자료 제출 요구 봇물…”업무 마비될 지경” 이라는 내용으로 제주의소리 기사 제목에 더해서 업무가 마비될 지경이라는 ‘전언’을 제목으로 뽑았는데요. “제주도지사 출신 원희룡 국토교통부장관 후보자의 인사청문회를 앞두고 제주도 등을 상대로 여당 국회의원들의 원 후보자 관련 자료 제출 요구가 봇물을 이루고 있다. 일부 제주도 공무원은 자료 준비로 본 업무가 마비될 지경이라고 토로하고 있다.”고 전하고 있습니다.
국회의 자료 요구가 있으면 행정기관의 통상 업무에 다소 제한이 걸리는 것은 당연한 측면 있습니다. 때문에 지나치다 싶으면 간혹 자료 요구가 여론의 지탄을 받는 경우가 있는데요. 수합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자료를 내일까지 제출하라고 한다든가, 아니면 자료제출 요구 의도가 명확한 것, 부서별 사무 범위가 명확하지 않은 자료, 아니면 쓰지 않을 것 같은데 품이 많이 드는 것을 요구하는 경우 등인데요.
<뉴제주일보> 기사에 자료 요구 건수는 나와 있는데 이에 대한 내용은 담기지 않았습니다. 민주당 의원들이 160여건을 요구했고, 국민의힘 의원은 0건을 요구했다는 내용이 담겼습니다. 그러면서 제주도 간부공무원 입을 빌려서 자료 제출 요구에 대해 다소 부당하다는(?) 뉘앙스에 힘을 싣는 분위기입니다.
사실 <뉴제주일보>의 이런 기사는 다소 이해되는 측면이 있습니다. 원희룡 전 제주도정과 유독 가까웠기 언론이기 때문인데요. 강영진 전 편집국장은 지난 2016년 총선에서 이른바 원희룡 마케팅을 등에 업고 나가서 뭔가 해보려 하다가 예비후보 단계에서부터 미끄러졌고, 지방선거에서 공보단장을 맡아 이후 공보관과 서울본부장을 맡아 승승장구해왔습니다. <제주일보>와의 제호 분쟁 와중에서도 사업비도 제법 크고 역사와 전통성이 오래된 백호기 축구를 맡아 하기도 했는데요. 이것말고도 <뉴제주일보> 보면 대놓고 원희룡 전 지사를 띄우려는 기사들 사실 많이 보이기는 하는데요. 오늘은 그 말까지는 하지 않겠습니다. 떠난 원님이 그리우시겠지만 감정 이입은 좀 적당히 하시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