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3평화재단, 미군정 당시 추가 진상조사 자료집 발간

제주4‧3평화재단(이사장 양조훈)은 23일 제주4‧3사건 추가진상조사자료집 <미국자료1,2>를 동시에 발간했다고 23일 밝혔다.

이번에 선보인 4‧3 미국자료집은 미국자료 조사사업의 첫 번째 성과물로, 본격적인 미국자료집 편찬은 2003년 4·3중앙위원회가 실시한 이후 18년 만에 재개된 것이다.

재단은 지난 2018년 신설된 조사연구실의 주도로 2019년부터 미국 국립문서기록관리청(NARA)에 조사팀을 파견해 미군정청(USAMGIK), 미 군사고문단(KMAG) 등 남한 현지 기관 이외에도 극동군사령부(FEC), 연합군사령부(SCAP) 등 주한미군 상위기관이 생산한 약 38,500여매의 4·3 관련문서를 수집했다.

이 가운데 4‧3과 직·간접성이 있는 자료 4,200매를 추려 번역작업에 들어갔는데, 이번에 출간된 두 권의 자료집은 해방 직후 주한미육군사령관 하지 중장의 점령 메시지부터 시작해서 4·3 전야인 1948년 4월 2일 5·10선거를 앞둔 당시의 긴장된 상황을 다룬 총 1,190페이지(1권 605, 2권 582쪽)의 분량이다.

이번 미국 현지조사에서 수집된 자료 중에는 한반도와 제주상황을 바라보던 미군정청 및 군사고문단의 인식뿐만 아니라 미 극동군사령부, 연합군 최고사령관, 유엔군사령부 등 미군 상위기관의 기록을 담은 문서군인 RG554의 4·3 관련 기록이 다수 수록됨으로써 당시 미국과 소련을 둘러싼 국제정세와 국내 상황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고 있다.

이번에 펴낸 자료집은 NARA의 기록 분류체계에 따른 해당 문서들의 출처를 정확히 제시함으로써 증거력을 한층 되살렸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미국자료집은 국내외 주요 기관 및 학술 연구 단체에 배포될 예정이며, 온라인 (제주4‧3아카이브, http://www.43archives.or.kr/)에서 일반에 공개된다.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