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팜 기업 <팜팩토리>의 진노아 대표는 흔한 스타트업 운영자가 아닙니다. 이미 젊은 나이에 일본 등에서 사업 경험을 쌓아 비즈니스에는 잔뼈가 굵었다고 할 수 있는데요. 코로나와 한일

스마트팜 기업 <팜팩토리>의 진노아 대표는 흔한 스타트업 운영자가 아닙니다. 이미 젊은 나이에 일본 등에서 사업 경험을 쌓아 비즈니스에는 잔뼈가 굵었다고 할 수 있는데요. 코로나와 한일
지방자치단체에서 역사적 사건을 다루는 부서는 아마 전국적으로도 흔하지 않을 겁니다. 제주도청의 4·3 지원과는 그런 면에서 독특한 부서라 할 수 있는데요. 이번 이슈 인터뷰는 강민철 4·3지원과장
“부자 몸조심 하지 않는 정치인.” 일단 기득권에 합류하면 적당히 눈치를 보고 민감한 문제는 타협하거나 얼렁뚱땅 넘어가 버리는 정치인의 모습, 비단 어제 오늘만의 일은 아닐 겁니다.
“치열한 준비가 모자랐다.” 지난 교육감 선거 패배의 원인을 묻는 질문에 대해 최근 두 번째 도전을 선언한 김광수 전 교육의원이 스스로 내놓은 결론입니다. 야인(?)으로 지낸 4년
38명(교육의원 5명 제외)의 제주도의원 가운데 국민의힘 소속 의원은 5명에 불과합니다. 바늘구멍 통과하기 만큼이나 힘들었다는 지난 2018년 지방선거의 여파라고 할 수 있는데요. 최근 대선과 지방선거를 앞둔
“Can’t have your cake and eat it too.” ‘케이크를 먹으면서 동시에 가지고 있을 수는 없다’는 영어 속담입니다. 한 가지를 선택하면 나머지 하나를 포기해야 한다는 뜻인데요.
더불어민주당 강성민 도의원은 국회의원 보좌관과 오랜 정당 생활을 통해 초선 답지 않게 정치적 문법과 사고에 익숙합니다. 인터뷰 내내 ‘소명의식 없이 정치를 해서는 안된다’, ‘민생을 챙기고
초선인 문종태 제주도의원은 자신의 지역구인 제주시 건입동, 일도1동, 이도1동에 대한 자부심으로 가득합니다. 상대적으로 젊은 나이에 정치 전선에 뛰어든 문 의원은 그러나 이달 초 불출마를 선언했는데요.
지난 2014년 발생한 세월호 참사. 비극의 현장을 목도하며 나라의 교육시스템에 환멸을 느낀 많은 국민들, 당시 지방선거에서 다수의 진보 성향 교육감에게 압도적 지지를 보냈는데요. ‘단 한 명의
제주국제컨벤션센터를 둘러싼 논란이 좀처럼 가라앉지 않고 있습니다. 오늘 이슈 인터뷰는 지난주 노조 관계자에 이어 다시 관련 내용에 대한 ICC제주 사측의 입장을 들어보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 홍호길
전통주 복원 사업에 뛰어든 <이시보>의 부경철 대표는 한 때 음악가를 꿈꾸던 청년입니다. 다른 이에게 위로와 영감을 주고 싶어 음악을 시작했던 그 마음 그대로 전통주 복원
제주도가 민선 6기 원희룡 도정 당시 국제적 수준의 카지노 산업 육성을 위해 새롭게 부서와 위원회를 꾸리고 관련 조례도 새롭게 만들었는데요. 그런데 국제적 수준은 고사하고 원희룡